티스토리 뷰
패션 드로잉 다양한 포즈 그리기
패션 드로잉에서 다양한 포즈는 무게 균형에 따른 모델의 다양한 동작을 의미합니다. 편안하게 서 있는 자세를 표현하려면 한쪽 발에 체중을 실어 균형을 이룬 모습을 그려야 합니다. 무게 균형에 따른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이 공식은 편리하고 유용합니다. 하지만 여기에도 예외가 있습니다. 규칙을 깨는 자세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자세히 배울 것입니다.
목차
1. 무게의 균형
2. 모델의 측면도 그리는 방법
3. 골반을 내민 포즈
1. 무게의 균형
패션 드로잉에서 무게의 균형은 안정적인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델을 그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무게의 균형을 잡기 위하여 형체의 몸은 자연스럽게 기울어지며 포즈를 잡게 됩니다. 우선 하중을 받는 발은 목의 패인 점에서 이어져 내린 수직선 아래 놓이게 그려야 합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연속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중을 받는 쪽의 둔부는 올라가고 골반은 반대쪽을 향해 기울어져 내려가는 것입니다. 골반이 기울어지면서 흉곽과 어깨가 하중을 받는 쪽으로 기울어지게 됩니다. 몸체의 연추선도 같은 이유로 허리에서 구부러지게 됩니다. 하중을 받는 다리와 발, 골반, 허리, 그리고 몸통은 형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를 잡을 때 주의해야 합니다. 반면에 머리와 목, 팔, 하중을 받지 않는 다리는 비교적 편안한 자세로 다양하게 연출이 가능합니다.
무게의 균형이 잘 잡힌 형체를 그리는 순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머리에서 발목까지 중심선 또는 연추선을 긋고 A, B, C와 1, 2, 3, 4를 표시합니다.
머리와 목의 원통 형태를 그립니다. 그리고 몸체의 무게가 실린 발을 그린 후 하중을 받는 쪽으로 약간 경사져 내려온 몸통의 윗부분을 그립니다. 쇄골에서 직각이 되도록 목의 패인 점에서 허리까지 선을 그어 줍니다. 그리고 C에서 연추선으로 되돌아가 연결하면 좀 더 편안한 자세를 취한 몸체의 중심선이나 T 선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C에서 몸체의 중심선과 직각으로 골반의 밑변을 그립니다. 허리 위에서 몸통의 윗부분과 평행이 되는 선을 그어 줍니다. 이 부분이 몸통의 밑부분을 표시하게 됩니다. 골반의 밑 부분과 평행이 되는 선은 골반의 윗부분을 의미합니다. 중앙선에서 양옆을 똑같게 그려주면 골반과 몸통의 형태가 완성됩니다. 허리 밴드는 골반과 같은 각도로 기울여 줍니다. 무릎 관절은 4에서 연추선까지 살짝 오른쪽으로 나가 공 모양으로 그려 줍니다. 골반에서 무릎 관절의 이음매로 선을 이어 좁아지게 원통 형태의 대퇴부를 그립니다. 그 밑으로 종아리를 그려줍니다. 종아리는 무릎에서 발목까지 원통 형태로 그립니다. 마지막으로 어깨 경사를 그리고 배 위에 올려진 주먹을 그립니다. 어깨 관절을 공 모양으로 그린 후 허리를 가로지르는 원을 그립니다. 이때 중심점을 목의 패인 점으로 하여 공 모양으로 된 팔꿈치 관절의 위치를 정합니다. 위팔을 원통 형태로 그리고 C 아래에 팔목을 표시합니다. 그다음 팔꿈치 관절에서부터 팔목까지 원통 형태의 팔뚝을 그려줍니다. 그리고 손의 형태를 그려줍니다. 4에서 골반의 밑변과 평행이 되도록 하중을 받는 다리의 무릎이 통과하도록 선을 하나 그어 줍니다. 하중을 받지 않는 다리의 무릎 관절의 위치를 이 선 위에서 정하면 됩니다. 하중을 받지 않는 발은 발목 정도에서 경사진 선을 하나 더 그어 줍니다. 그리고 이 선 위에서 하중을 받지 않는 발의 형태와 다리의 위치를 결정하면 됩니다.
2. 모델의 측면도 그리는 방법
같은 포즈를 취한 모델도 측면을 바라보고 서 있는 측면도에서는 완전히 새로운 그룹의 포즈를 볼 수 있습니다. 패션 드로잉에서는 모델의 측면도를 그리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측면도를 그리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즈 중에 3/4면도의 다양한 변형은 가장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보다 중요한 윤곽선들은 형체가 전환되었을 때 드러날 수 있습니다. 의상의 앞과 뒤의 디테일은 극도의 전환을 통해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른 형체들처럼 연추선을 그리고 표시하는 것으로 3/4면도 형체의 비례도 시작합니다. 목이 기울어지고 머리가 움직이게 되는 것은 형체가 방향을 전환하면 발생하는 특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머리 형태를 중심선에서 살짝 치우치게 그려야 합니다. 머리의 위치에 맞춰 원통형의 목을 조절한 다음 앞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게 이완된 몸체의 중심선을 그리면 됩니다. 3/4면도의 형체는 보는 사람으로부터 멀리 돌려져 있어 흉곽과 골반의 형태가 정면도보다 좁게 그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흉곽과 골반 형태의 측면을 음영 처리 하여 측면과 정면이 구별될 수 있도록 합니다. 흉곽의 측면에 원통형의 팔을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을 남겨 둡니다. 어깨를 그리고 그림과 같이 골반과 평행하게 허리 밴드를 기울여 줍니다. 그리고 하중을 받는 다리와 발을 그립니다.
포즈를 취한 모델의 측면도를 완성 시킬 때 팔을 그리기 전에 손의 위치를 먼저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굽힌 팔의 팔꿈치가 정면도 형체의 팔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유의 깊게 살핀 후 그려야 합니다. 또한 흉곽이 어깨에서 뒤쪽에 있는 팔과 겹치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3. 골반을 내민 포즈
패션 드로잉에서 골반을 내민 포즈는 앞서 이야기한 무게의 균형 규칙을 깨는 자세 중 하나 입니다. 골반은 기울어져 있고 어깨는 직선상에 똑바로 놓여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앞으로 수그린 것과 같은 구부정한 패션 포즈가 됩니다. 이 변형된 자세는 패션 드로잉에서 주로 쓰이는 모델 포즈의 주된 표본으로 수년간 인정받았습니다.
형체의 비례를 위해 기호를 표시하고 수직의 중심선을 긋습니다. 머리의 형태는 연추선에서 옆으로 약간 벗어난 곳에 그리면 됩니다. 특이점은 3/4면도와 반대로 움직이는 머리와 목의 기울기입니다. 머리의 위치에 맞추어 목을 원통형으로 그려줍니다. 그리고 수평의 쇄골 선을 그려줍니다. 골반을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 허리에서 밑 위까지 새로운 골반 중심선을 그려 줍니다. 몸통과 골반은 지면과 정면으로 향하지 않도록 좁은 형태로 그려 놓습니다.
몸통과 골반의 측면에 음영 처리를 합니다. 팔이 연결될 구멍과 팔로 가려지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3/4면도와 반대쪽 몸통과 골반입니다. 허리 밴드는 골반과 평행하게 기울여 그려주고 부분적으로 음영을 처리합니다. 그리고 하중을 받는 다리와 발을 그려주면 됩니다. 팔과 다리를 연결하기 전, 손과 발을 원하는 위치에 그려 넣어 줍니다.
'패션드로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와 얼굴 패션 드로잉 기법 (0) | 2023.11.03 |
---|---|
패션 드로잉 속 남성과 아동 그리기 (0) | 2023.11.02 |
패션 드로잉 형체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0) | 2023.11.01 |
패션 드로잉의 기초 (0) | 2023.10.30 |
패션 드로잉의 기본 (0) | 2023.10.27 |